로고jiohh blog

2023 관광분야 GEN AI 해커톤을 참여하며 - 시작

7.20 접수로 시작하여 8.9까지 진행했었던 관광분야 GEN AI 해커톤에 대한 후기를 적어보고자 한다.

2023 관광분야 GEN AI 해커톤

한국관광공사에서 주관하는 해커톤으로 생성형 AI기술과 Tour API를 접목하여 관광서비스를 개발하는 해커톤이다.

참여 계기

예전부터 꼭 해커톤에 참여하고 싶었다는 마음을 계속가지고 있었다.
개발은 항상 재미있었지만 언제부터인가 혼자 만들어낸 결과물이 아닌 다같이 협업하여 좀 더 완성되어 있는 결과물을 보고싶었다.
또 지금까지 배웠던 개발 지식들을 실제로 사용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던거 같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 동기의 해커톤에 나갔던 경험담을 시작점으로 나를 포함한 여러 동기들의 도화선에 불을 붙히게 되어 해당 해커톤에 참여하게 되었다.

아이디어

해커톤에 나가자는 이야기가 나왔을 무렵 '1박 2일'방송의 전통시장 바가지 논란이 화두가 되던 시점이였다.
두어번에 토의를 거치는 동안 여러 아이디어가 나왔지만 관련한 사건도 나왔을 뿐만 아니라 팀원의 여러 의견들은 국내관광의 부정적인 측면을 제거하는 것이 관광을 활성화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이 지배적이였다.

다른 참여 팀들의 아이디어를 보았을때 긍정적인 면으로 나온 아이디어들이 많았다. 하지만 우리는 부정적인 면을 없애줄 수 있는 서비스가 더욱 임팩트 있다고 생각하여 해당 주제로 진행하게 되었다.

우리의 메인 주제는 관광지의 바가지 요금, 더 나아가 택시비 바가지요금, 숙박비까지를 목표로 개발하였다.

팀원 및 기술스택

우리는 프론트엔드 2명, 백엔드 3명으로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나는 백엔드를 담당하여 개발하게 되었다.

프론트엔드

택시 바가지 해결을 생각하였을때 실시간으로 거리, 시간을 판단해야하는 요소를 생각하여 앱으로 구현하고자 하였고 크로스 플랫폼이 가능한 flutter를 사용하여 개발하기로 결정하였다.

백엔드

백엔드 팀원들은 여러 과제 및 프로젝트 덕분에 flask, spring boot, node를 사용할 수 있어 선택지가 많았다.

다음은 기술스택 관련한 토의 내용이다.

flask나 node를 사용하면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지만 다들 배우고 있는 spring boot를 사용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많아 spring boot를 이용하여 개발하게 되었다.

기타

의견 공유,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 API 명세, 진행도파악에 노션을 사용하였다.

버전관리에는 git을 사용하였다.

구현 방향성 아이디어 회의

바가지 해결이라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출발하였지만 정확히 어떻게 구현할지에 많은 시간을 사용했다.

우리의 서비스의 큰 토대는 사용자에게 여러 정보를 제공하여 바가지를 회피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여러 데이터를 활용하여 GEN AI를 활용해 해당 데이터를 좀 더 쉽게 알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관련하여 여러번에 구현 방향성 아이디어 회의를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여 제공할 것인지에 대해 정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때 가능할까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직접 어떤 데이터를 활용해서 어떻게 구현할지 구체적으로 이야기가 나오니 서비스를 직접 만들어볼 생각에 설렘으로 다가왔던거 같다. 또한 어떻게 제작해야 더욱 좋은 서비스로 제공될까라는 고민을 하고 토론하며 팀원들의 아이디어에 놀라움도 느꼈고 어느정도 방향성이 정해짐에 따라 성취감이 다가왔다.

요구사항 명세서

위의 구현 방향성 아이디어 회의에서 나온 모든 기능들을 구현하기에는 기술적으로도 기술의 효과적으로 판단하였을때 모든 아이디어를 구현하는데는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여러 기능들을 선정하고 명세하는 작업을 가졌다.

API 명세

이제 API 명세를 통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URI, 주고받을 데이터를 세팅하였고 업무 분배를 명세하였다. 비교적 팀원의 수가 많아 편하게 구현했던거 같다.

우리의 아이디어는?

우리가 열심히 아이디어 회의, 요구사항 명세, API 명세를 진행하는 동안 우리의 아이디어는 예상보다 반응을 얻고있었다. 인기순으로 보았을때 첫페이지로 올라왔을 뿐만 아니라 좋아요 순으로 13번째에 위치하고 있었다.

궁금하다는 여러 의견도 있었고 근본적으로 해결이 될지 모르겠다는 의견도 존재하였다. 여러 글을 보며 기대감과 함께 많은 생각도 들었다. 개발하며 이러한 댓글들은 멈춰서 다시한번 서비스를 점검하며 나아가는데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글을 적어주신 분들께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싶다.

이어가며

원래는 전체적인 후기를 작성할려고 하였으나 작성하다보니 글이 길어진거 같다.
필요없는 내용도 많은 것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너무 길어졌다고 생각하여 다른글을 통해서 개발 중의 이야기들을 적어 보고자 한다.